건강검진으로 암 발견한 환자 절반은 계속 검진받아 언론 속의 암이야기



건강검진으로 암 발견한 환자 절반은 계속 검진받아 

 

 


건강검진으로 암을 발견한 환자 중 절반은 암 진단 뒤에도 지속적으로 검진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가정의학과)와 국립암센터 암정책지원과 박종혁 과장 연구팀은 지난 2009년 전국 10개 병원의 18세 이상 암환자 약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암환자 중 암 진단 후 2년 이상 경과한 40세 이상 암생존자 512명을 대상으로 이차암 검진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해당 연령과 성별에 적용되는 필수 암 검진을 모두 받은 사람은 36.9%(189명)였다.

 

특히 건강검진을 통해 암을 발견한 암생존자(137명) 중 이차암 검진을 받는 비율은 50.4%(69명)이었으나 증상을 느껴 암을 발견한 암생존자(375명)에서는 32%(120명)였다.

 

이는 건강검진의 이득에 대한 지식과 긍정적 태도로 정기 검진을 받던 사람들은 암 진단 후에도 계속 검진을 받고 있으나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지 않던 사람들은 암 진단 후에도 다른 암에 대한 검진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때문에 의료진은 건강검진이 아닌 경로로 암이 발견된 환자에게 암 치료 후 정기적인 암 검진의 중요성에 대해 주도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증상을 느껴서 첫 번째 암이 발견된 환자를 분석한 결과, 월소득 2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이 월소득 2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박종혁 과장은 "저소득층에서는 암 검진이 아닌 다른 경로로 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차암 검진도 제대로 받지 않고 있다”며 “이들에게 이차암 검진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나 검진 비용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는 “암 치료를 받고 있거나 암 완치 후 생존하고 있는 암생존자수가 약 100만 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며 “암 환자가 치료 이후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저명 국외학술지인 ‘BMC Cancer' 지난해 11월호에 발표했다.

 

정승원 기자 / origin@docdocdoc.co.kr
(2013-01-17 13:22:17)
http://www.koreahealthlog.com/news/newsview.php?newscd=2013011700016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가 함께하는 국가암정보센터 입니다.

배너를 클릭하시면 암에 관련된 다양한 최신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암정보센터와 함께 나누는 건강한 이야기!

국가암정보센터의 건강한 친구가 되어주세요^-^

 


 


덧글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화이트)

10
7
145781